곡성읍의 청년 목공방이 주민들과 함께 마을 놀이터를 만들며, 버려진 뒷골목을 커뮤니티 중심지로 되살린 이야기.
📑 목차
- 골목과 뒷마당의 침체
- 청년 목공방의 시작
- 놀이터 만들기 프로젝트
- 주민 참여와 협업
- 결과와 확산
- 결론
1. 침체된 골목 현실
곡성읍 후미진 골목에는
버려진 주택과 마당이 연결되어
‘위험 지역’처럼 여겨졌다.
2. 목공방 청년들의 시작
청년 두 명은 빈 공간을 빌려 목공방 창업 후,
마을 아이들을 위한 작은 놀이터를 만들기로 결심했다.
3. 프로젝트 내용
- 폐가구 리사이클
- 지역 초등학생과 공동 디자인
- 놀이터+정자+책장 벤치 조성
4. 마을 참여 구조
- 아이들의 이름으로 공간 명명
- 학부모 + 상인회 + 노인회 연합 관리
- 주말 벼룩시장과 연계
5. 성과
- 마을 안전지수 상승
- 지역 청소년 귀향 관심도 증가
- 전국 공모전 수상 → 곡성 브랜드 이미지 개선
✅ 결론
기술이 아닌 공감과 참여로 만든 공간,
곡성읍의 골목은 아이들로 다시 살아났다.
'지방도시' 카테고리의 다른 글
경북 문경읍 한옥, 힐링 숙소가 되어 돌아오다 (0) | 2025.10.12 |
---|---|
전북 무주읍 청년, 캠핑족을 위한 빨래방으로 골목을 살리다 (0) | 2025.10.12 |
경북 청도 화양읍, 찻집 하나가 골목을 살렸다 (0) | 2025.10.12 |
충남 서천읍 구 읍사무소, 청년 창업으로 예술 공간이 되다 (0) | 2025.10.11 |
강원 영월읍 사진관, 청년들의 로컬 스튜디오로 부활하다 (0) | 2025.10.11 |