지방도시

전남 벌교읍 꼬막거리, 청년들이 만든 공간이 되살렸다

a-nightflight 2025. 10. 11. 01:49

 

벌교읍의 옛 꼬막거리 상권이 청년들의 로컬 게스트하우스를 중심으로 관광객을 유치하며 되살아나고 있다.

 

전남 벌교읍 꼬막거리, 청년들이 만든 공간이 되살렸다

 

📑 목차

  1. 꼬막거리의 쇠퇴
  2. 청년 숙소 창업의 배경
  3. 식도락 + 로컬 감성 콘텐츠 결합
  4. 협업으로 연결된 지역 상권
  5. 성과와 앞으로의 방향
  6. 결론

 

1. 꼬막거리의 쇠퇴

 

벌교읍은 ‘꼬막’ 하면 떠오르는 지역이었지만,
고령화와 외식문화 변화로 상권은 빠르게 침체되었다.
꼬막거리 내 상점의 절반 이상이 문을 닫은 상태였다.

 

2. 청년들의 게스트하우스 창업

청년 2명이 낡은 여관을 리모델링해 로컬 게스트하우스를 오픈했다.
객실은 단 4개였지만, ‘꼬막정식 체험’, ‘시장 투어’,
‘벌교 문학 산책’ 같은 패키지를 통해 독특한 경험을 제공했다.

 

 3. 공간 + 콘텐츠의 힘

  • 내부 디자인: 보성 특산품 활용 인테리어
  • 지역 꼬막가게와 제휴 → 투숙객 할인
  • 꼬막 레시피 클래스 운영

 

 4. 지역 상권에 미친 영향

  • 식당 재방문율 증가
  • 인근 꼬막집 3곳 매출 상승
  • 지역 주민과 공동 축제 기획 진행 중

 

 5. 성과와 향후 과제

 

1) 성과

  • 숙박 예약률 평균 90%
  • 인스타그램 팔로워 1만 명 돌파
  • 청년 귀촌 유입팀 3곳 증가

2) 과제

  • 비수기 운영 수익 모델
  • 장기 임대 공간 부족

 

✅ 결론

 

청년들의 작은 공간 하나가 지역 전체를 되살릴 수 있음을 보여주는 사례.
벌교 꼬막거리는 다시 이야기와 사람이 흐르는 골목이 되었다.