벌교읍의 옛 꼬막거리 상권이 청년들의 로컬 게스트하우스를 중심으로 관광객을 유치하며 되살아나고 있다.
📑 목차
- 꼬막거리의 쇠퇴
- 청년 숙소 창업의 배경
- 식도락 + 로컬 감성 콘텐츠 결합
- 협업으로 연결된 지역 상권
- 성과와 앞으로의 방향
- 결론
1. 꼬막거리의 쇠퇴
벌교읍은 ‘꼬막’ 하면 떠오르는 지역이었지만,
고령화와 외식문화 변화로 상권은 빠르게 침체되었다.
꼬막거리 내 상점의 절반 이상이 문을 닫은 상태였다.
2. 청년들의 게스트하우스 창업
청년 2명이 낡은 여관을 리모델링해 로컬 게스트하우스를 오픈했다.
객실은 단 4개였지만, ‘꼬막정식 체험’, ‘시장 투어’,
‘벌교 문학 산책’ 같은 패키지를 통해 독특한 경험을 제공했다.
3. 공간 + 콘텐츠의 힘
- 내부 디자인: 보성 특산품 활용 인테리어
- 지역 꼬막가게와 제휴 → 투숙객 할인
- 꼬막 레시피 클래스 운영
4. 지역 상권에 미친 영향
- 식당 재방문율 증가
- 인근 꼬막집 3곳 매출 상승
- 지역 주민과 공동 축제 기획 진행 중
5. 성과와 향후 과제
1) 성과
- 숙박 예약률 평균 90%
- 인스타그램 팔로워 1만 명 돌파
- 청년 귀촌 유입팀 3곳 증가
2) 과제
- 비수기 운영 수익 모델
- 장기 임대 공간 부족
✅ 결론
청년들의 작은 공간 하나가 지역 전체를 되살릴 수 있음을 보여주는 사례.
벌교 꼬막거리는 다시 이야기와 사람이 흐르는 골목이 되었다.
'지방도시' 카테고리의 다른 글
강원 영월읍 사진관, 청년들의 로컬 스튜디오로 부활하다 (0) | 2025.10.11 |
---|---|
경남 하동읍 골목, 책과 커피로 다시 살아나다 (0) | 2025.10.11 |
충북 괴산읍 전통시장, 청년 리브랜딩으로 다시 살아나다 (0) | 2025.10.11 |
전북 순창읍 된장골목, 청년들이 다시 살려낸 이유 (0) | 2025.10.10 |
경북 청송군 – 자연자원 활용 ‘에코빌리지’ 개발 계획 (0) | 2025.10.10 |